<aside> 💡 **1. 기존 분석대로 이슈 시기(8/4주차)의 유저 감소량의 72%가 장기 유저로 인한 것임을 확인. 다만 신규 유저 감소량 또한 25%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므로 장기 유저 이슈 확인 후 추가 확인해볼 필요 있음
추가로 전주 대비 유저 증감율을 확인했는데 6/23주차에 급격히 하락했음을 알 수 있음 (17.6% 하락. 이슈 시기의 15.8%보다 큼) 이 시기 역시 장기 유저 이슈가 있었는지 확인해 볼 필요 있음
기존 코호트 차트는 10주 이상 유저를 공동 집계해 최근 유저 추이를 확인하기 어렵고, 실제 이슈 지점을 즉시 파악할 수 없었음 → 코호트&주간 유저수를 동시 확인할 수 있는 누적 그래프로 확인 → 코호트 집단을 17주 이상 유저까지 좀 더 세분화하고 그 이상의 장기 유저는 차트에서 제외해 확인**
</aside>
retention_rate_by_user_age_분석.csv
코호트 집단을 1~10+week으로 나눈 이유가 명확하지 않다
****17주 이전 날짜까지 보여주어 10+week 코호트 engagement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다가 9week 코호트 집계 시점에 급격히 하락하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다.
누적 그래프가 아니라서 전체 engagement를 확인하기 어렵다.
코호트 집단을 1 ~ 17+week으로 다시 나누어 engagement 추이를 보자!
17+ week의 7월 28일 이후 engagement 감소 추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, engagemet의 총량을 신규 유저의 유입으로 상쇄하고 있었을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.
7월 28일 코호트 집계가 시작된 3week 코호트의 engagement 증가 추이가 타 코호트와 비교해봤을 때 유독 완만한 편임을 알 수 있다.
즉, 7월 28일의 engagement 하락은 장기유저의 engagement 하락과 신규 유저의 engagement의 하락 두 가지를 원인으로 하는 것이다.
→ 신규유저의 유입에도, 장기유저의 retention에도 문제? 로그인을 비롯해 Yammer에 유입하게 하는 프로세스의 문제가 있었을 가능성